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반응형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CloudWatch
- CNS
- Kubernetes
- 쿠버네티스
- 신뢰정책
- 데이터브릭스
- CodePipeline
- 컨텍스트스위칭
- controltower
- personlize
- 클라우드 아키텍트
- Appconfig
- 배포자동화
- cloudtrail
- gitlab-runner
- 데이터 엔지니어링
- CKA
- CodeBuild
- CICD
- ou
- AWS
- Cloud Architect
- 자격증
- 로드밸런서
- IAM
- ci/cd
- CodeDeploy
- 권한정책
-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
- 데이터분석준전문가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ELB (1)
개발일기

HTML, CSS, JS 파일들은 S3 버킷에 업로드 → webfront → route53 을 활용하여 배포해도 무방하지만, 로드밸런싱, HTTP 기능 구현의 편의를 위해 ec2로 배포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. 본 포스팅 에서는 nginx 서버(80포트)를 호스팅 중인 ec2인스턴스의 배포 프로세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. 1. 도메인 구입 : Route53 서버 관리자는 Route53에서 도메인을 구입하여 클라우드 자원과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. 사용자는 이 도메인 이름을 통해 숫자로 되어있는 Public IP(209.85.227.104) 대신 www.google.com와 같은 링크를 활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됩니다. 2. https : ACM(TLS/SSL 인증서) 발급ACM(AWS ..
클라우드/AWS
2024. 7. 20. 21:40